여성 성 절제 피해자들 바이브레이터 제공


유엔이 지정한 ‘여성성기절제(FGM : female genital mutilation) 피해자들을 위한 무관용의 날’(2월 6일)을 계기로 인도주의 단체인 클리토레이드(www.clitoraid.org)는 그들의 회복중인 환자들에게 발명자 마이클 렌케가 기증한 ‘우머나이즈(Womanizer)’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키로 했다.

<관련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sfxNMN3il-k >

“그 바이브레이터의 사용은 우리 환자들의 클리토리스 복원수술 후 재활 테라피의 일부가 될 것”이라고 클리토레이드 대변인 나딘 게리는 설명했다.

클리토레이드 자원봉사 의사인 마르시 바우어 박사와 헤롤드 헤닝 박사는 2009년 이래 250명 이상의 성기절제 피해자들을 성공적으로 수술했다고 그녀는 말했다.

“수술과 재활 테라피는 그들에게 여성으로서의 존엄성을 회복시켜 주었다”고 나딘은 말하며, 이 단체의 혁명적인 자선활동은 인류의 창조자 우주인 ‘엘로힘’의 메시지를 전하는 세계적인 정신적 지도자 마이트레야 라엘(국제 라엘리안 무브먼트 창시자)의 인도주의적 비전에서 비롯되었다고 덧붙였다.

“그의 평화적이자 무신론적 철학은 성적 쾌감을 누릴 고유의 권리를 포함한 여성의 권리를 옹호한다”고 게리는 설명했다.

FGM은 ‘성기절단’이라고도 불리며, WHO에 따르면 오늘날 전 세계 1억 3천만 명의 여성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

나딘은 “이 소름끼치는 악습은 어린 소녀들의 성기 절제, 말하자면 클리토리스를 절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것은 대부분 마취 없이 행해지는데, 성적 쾌감을 없애기 위한 것이다. 그 목적은 여성들을 순결, 순종, 충실한 아내로 바꾸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남편들은 FGM아내를 갖기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수천 명의 피해자들이 클리토레이드에 연락해와, 자신들을 다시 완전한 여성으로 만들어 결혼생활을 누릴 수 있게 해달라고 애원하고 있다”고 그녀는 전했다.

지난 20년간 과학의 발전에 따라 여성 성기에 대한 해부학적 지식은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이와 관련, 나딘은 “역사상 처음으로 클리토리스의 제대로 된 모습을 알게 됐으며,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풍부한 조직임이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드러난 귀두는 방대한 쾌감 조직의 끄트머리일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성기절제는 복구 가능하며, 프랑스 비뇨기과 의사 피에르 폴데스 박사가 FGM 생존자들을 위한 혁명적인 수술 기법을 개발했다.”

클리토리스 복구수술은 수술 후 재활 테라피를 필요로 한다고 게리는 말했다. “다른 바이브레이터들과는 달리 우머나이저 바이브레이터의 비접촉 기술은 클리토리스 조직을 자극함이 없이 우리 환자들의 쾌감 감각 회복을 도울 것이다. 그리고 마이클 렌케는 우리 환자들의 피드백을 받은 뒤 환자들의 필요에 맞게 그의 바이브레이터 기술을 수정할 것이다.”

클리토레이드는 오는 5월 케냐에서 인도주의적 수술 활동을 실행할 계획이다.

그녀는 “50명 이상의 FGM 환자들이 그곳에서 수술을 기다리고 있다”며 “우리는 렌케 씨의 수술 후 테라피 도구를 그 환자들에게 소개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글/사진 한국 라엘리안 무브먼트

댓글 쓰기

0 댓글